
■ 개최목적
한글과 우리국악 창제의 세종정신을 바탕으로 예술인들의 총체적 혼과 노력의 결과를 승화하는 종합 대회를 마련하여 전통예술의 올바른 전승과 체계적 계승발전을 마련하고,인재 발굴 및 양성 과 더불어 우리의 가무악을 통해 우리의 정서뿐만 아니라 세계인의 정서를 풍부하게 할 수 있는 또 하나의 한류문화로 이바지 하고자 함이다.
■대회 개요
ㅇ주최 : (사)세종대왕기념사업회
ㅇ주관 : (사)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전통예술위원회
ㅇ후원 : 교육부, 문화체육관광부, 서울특별시, 동대문구, KBS 한국방송, (사)세종전통예술진흥원
■일시 및 장소
ㅇ예선 : 2022년 9월 28일(수)
ㅇ본선 : 2022년 9월 29일(목)
ㅇ종합결선 : 2022년 9월 29일(목)
ㅇ장소 : 세종대왕기념관 세종공원 내 특설무대 및 실내 경연장
■경연 종목 및 부문
ㅇ무 용 : 명인부, 일반부, 학생부
ㅇ기 악 : 명인부, 일반부
ㅇ민 요 : 명인부, 일반부
ㅇ판소리 : 명인부, 일반부
ㅇ타 악 : 일반부(단체부)
ㅇ단 체 : 일반부, 학생부(무용, 민요, 판소리)
■참가 자격
ㅇ명인부 : 대한민국 국민 또는 재외국민으로 만 30세 이상 남, 여
ㅇ일반부 : 대한민국 국민 또는 재외국민으로 만 19세 이상 남, 여(타악부 동일)
ㅇ고등학생 · 대학생 · 대학원생부 : 고등학교,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재학중인자로 한함
ㅇ해당 분야 대통령상 수상자와 국가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는 참가 불가
ㅇ단체부의 경우 작품구성 인원 2인 이상
ㅇ1인 1부문에 한함. 단 단체부는 중복 참가 가능
■참가 신청서 교부 및 접수
ㅇ신청서 교부 : 한국전통예술위원회 홈페이지(www.sjartgroup.com)에서 다운로드
ㅇ접수기간 :2022년 8월 29일부터.~9월 24일(17:00까지)
ㅇ제출서류 : 참가신청서, 무용(학생부) 재학증명서, 무용반주음원(파일형식은 MP3)
ㅇ접수방법 : E-mail접수 (sjart2015@hanmail.net), 우편접수는 불가
ㅇ참 가 비 : 참가비는 없으나 지정고수 신청시 50,000원 별도(타악부는 반주자 직접 대동)
ㅇ문의 : 세종대왕전통예술경연대회 사무국 02) 924-5302
■경연방법
ㅇ예선 : 접수 역순으로 진행
ㅇ본선 : 본선진출 현장에서 추첨
ㅇ종합결선 : 결선진출 순서순
■순위 결정
ㅇ심사점수는 최고, 최하점을 제외한 나머지 점수 합계의 평균으로 산출, 평균 점수 상위 순으로 순위를 결정함
- 동점일 경우 연장자순(년, 월, 일순)으로 순위를 결정함
- 단체부는 동점일 경우 참가인원이 많은 팀이 우선으로 순위 결정함
- 최종 종합결선의 경우 각 심사위원이 참가자별 등위를 매겨 심사위원 전체 등위의 합이 제일 작은 순으로 등위를 결정함
■심사 회피
ㅇ참가자는 직접스승과 친인척 명단(국악, 무용 관련 8촌 이내)을 신청서의 ‘직접스승 및 8촌 이내 친인척’ 기입란에 기재해야 함
ㅇ만약 수상 후 회피신청 사유가 있었음이 발견될 시에는 본 주관단체는 수상 취소를 결정할 수 있고 수상자는 해당 상장, 상금을 반환하여야 함
ㅇ참가자는 이 조항을 수락하고 참가하는 것에 동의하여야함
■대회종목 및 경연 작품, 심사 항목
종목 | 부문 및 시간 | 경연 작품 | 심사 항목 |
기악 | 명인부 10분 이내 일반부 7분 이내 | 자유곡 (예선) 산조 (본선) | 공력(40%) 박자(30%) 성음(20%) 자세(10%) |
무용 | 명인부 10분 이내 일반부 7분 이내 대학원, 대학부6분 이내 고등부 3분 이내 | 전통무용작품 중 자유 선택 (승무의 경우 북가락포함) | 기능(50%) 내용(20%) 의상(10%) 음악(10%) 자세(10%) |
민요 | 명인부 10분 이내 일반부 7분 이내 | 경서도 민요, 잡가 중 자유 선택 | 공력(30%) 장단(25%) 가사(20%) 성음(15%) 자세(10%) |
판소리 | 명인부 15분 이내 일반부 10분 이내 | 판소리 5바탕 중 자유 선택 | 공력(30%) 박자(30%) 가사(15%) 발림(15%) 성음(10%) |
타악 | 일반부, 단체부 5분이내 | 개인놀음 및 단체 | 공력(30%) 구성(30%) 조화(20%) 일치(20%) |
단체 | 단체부 10분 이내 | 전통분야 중 자유선택 | 구성(30%) 조화(30%) 박자(20%) 일치(20%) |
* 한국전통무용 - 승무, 살풀이춤, 태평무, 한량무, 산조춤,
소고춤, 장고춤, 진도북춤, 춘앵전, 무산향 또는 국가무형문화재 및 시도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중 작품 택1
■기타사항
ㅇ참가자신청은 1인 1부문에 한정
ㅇ본선 참가 시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 지참
ㅇ입상자 중 결격사유가 있을시 심사규정에 의거 입상을 취소할 수 있음
ㅇ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
※ 위 내용은 대회운영상 사정에 의하여 변동될 수 있음
■ 시상 내역
부 문 | 상 격 | 훈 격 | 인 원 | 상 금 | 비 고 |
명 인 부 | 종합 결선 진출자 | 종합대상 | 세종대왕상 | 1 | 20,000,000 | 부문별 1등을 종합결선을 통해 선정 |
대상 | 국무총리상 | 1 | 5,000,000 |
금상 |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| 1 | 3,000,000 |
은상 | 서울시장상 | 1 | 2,000,000 |
무용 기악 민요 판소리 | 최우수상 | 동대문구청장상 | 4 | 700,000 | 부문별 1명 |
우수상 | 기념사업회장상 | 4 | 500,000 |
장려상 | 전통예술위원장상 | 4 | 300,000 |
일 반 부 | 종합 결선 진출자 | 대상 | 국회의장상 | 1 | 5,000,000 | 부문별 1등을 종합결선을 통해 선정 |
금상 |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| 1 | 2,000,000 |
은상 | 서울시장상 | 1 | 1,000,000 |
동상 | 동대문구청장상 | 1 | 500,000 |
기악 무용 민요 판소리 | 준우수상 | 기념사업회장상 | 4 | 300,000 | 부문별 1명 |
장려상 | 전통예술위원장상 | 4 | 300,000 |
일반부단체 | 단체상 | 전통예술위원장상 | 4(팀) | 500,000 | 종목상관 없이 4팀 선정 |
타악부 (단체) | 금상 | 서울시장상 | 1 | 1,500,000 | 예선 단심 |
은상 | 국회의원상 | 1 | 1,000,000 |
동상 | 전통예술위원장상 | 3 | 300,000 |
대 학 원 생 부 | 무용 | 금상 | 교육부총리상 | 1 | 2,000,000 | 본선 고득점순 |
은상 | 동대문구청장상 | 1 | 500,000 |
동상 | 전통예술위원장상 | 3 | 300,000 |
대 학 부 | 무용 | 금상 |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| 1 | 2,000,000 | 본선 고득점순 |
은상 | 동대문구청장상 | 1 | 500,000 |
동상 | 전통예술위원장상 | 3 | 300,000 |
고 등 부 | 무용 | 금상 | 서울시장상 | 1 | 1,000,000 | 본선 고득점순 |
은상 | 구의회의장상 | 3 | 500,000 |
동상 | 전통예술위원장상 | 3 | 300,000 |
학생부 무용단체 | 단체상 | 전통예술위원장상 | 2(팀) | 500,000 | 부문상관 없이 2팀 선정 |
■ 개최목적
한글과 우리국악 창제의 세종정신을 바탕으로 예술인들의 총체적 혼과 노력의 결과를 승화하는 종합 대회를 마련하여 전통예술의 올바른 전승과 체계적 계승발전을 마련하고,인재 발굴 및 양성 과 더불어 우리의 가무악을 통해 우리의 정서뿐만 아니라 세계인의 정서를 풍부하게 할 수 있는 또 하나의 한류문화로 이바지 하고자 함이다.
■대회 개요
ㅇ주최 : (사)세종대왕기념사업회
ㅇ주관 : (사)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전통예술위원회
ㅇ후원 : 교육부, 문화체육관광부, 서울특별시, 동대문구, KBS 한국방송, (사)세종전통예술진흥원
■일시 및 장소
ㅇ예선 : 2022년 9월 28일(수)
ㅇ본선 : 2022년 9월 29일(목)
ㅇ종합결선 : 2022년 9월 29일(목)
ㅇ장소 : 세종대왕기념관 세종공원 내 특설무대 및 실내 경연장
■경연 종목 및 부문
ㅇ무 용 : 명인부, 일반부, 학생부
ㅇ기 악 : 명인부, 일반부
ㅇ민 요 : 명인부, 일반부
ㅇ판소리 : 명인부, 일반부
ㅇ타 악 : 일반부(단체부)
ㅇ단 체 : 일반부, 학생부(무용, 민요, 판소리)
■참가 자격
ㅇ명인부 : 대한민국 국민 또는 재외국민으로 만 30세 이상 남, 여
ㅇ일반부 : 대한민국 국민 또는 재외국민으로 만 19세 이상 남, 여(타악부 동일)
ㅇ고등학생 · 대학생 · 대학원생부 : 고등학교,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재학중인자로 한함
ㅇ해당 분야 대통령상 수상자와 국가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는 참가 불가
ㅇ단체부의 경우 작품구성 인원 2인 이상
ㅇ1인 1부문에 한함. 단 단체부는 중복 참가 가능
■참가 신청서 교부 및 접수
ㅇ신청서 교부 : 한국전통예술위원회 홈페이지(www.sjartgroup.com)에서 다운로드
ㅇ접수기간 :2022년 8월 29일부터.~9월 24일(17:00까지)
ㅇ제출서류 : 참가신청서, 무용(학생부) 재학증명서, 무용반주음원(파일형식은 MP3)
ㅇ접수방법 : E-mail접수 (sjart2015@hanmail.net), 우편접수는 불가
ㅇ참 가 비 : 참가비는 없으나 지정고수 신청시 50,000원 별도(타악부는 반주자 직접 대동)
ㅇ문의 : 세종대왕전통예술경연대회 사무국 02) 924-5302
■경연방법
ㅇ예선 : 접수 역순으로 진행
ㅇ본선 : 본선진출 현장에서 추첨
ㅇ종합결선 : 결선진출 순서순
■순위 결정
ㅇ심사점수는 최고, 최하점을 제외한 나머지 점수 합계의 평균으로 산출, 평균 점수 상위 순으로 순위를 결정함
- 동점일 경우 연장자순(년, 월, 일순)으로 순위를 결정함
- 단체부는 동점일 경우 참가인원이 많은 팀이 우선으로 순위 결정함
- 최종 종합결선의 경우 각 심사위원이 참가자별 등위를 매겨 심사위원 전체 등위의 합이 제일 작은 순으로 등위를 결정함
■심사 회피
ㅇ참가자는 직접스승과 친인척 명단(국악, 무용 관련 8촌 이내)을 신청서의 ‘직접스승 및 8촌 이내 친인척’ 기입란에 기재해야 함
ㅇ만약 수상 후 회피신청 사유가 있었음이 발견될 시에는 본 주관단체는 수상 취소를 결정할 수 있고 수상자는 해당 상장, 상금을 반환하여야 함
ㅇ참가자는 이 조항을 수락하고 참가하는 것에 동의하여야함
■대회종목 및 경연 작품, 심사 항목
종목
부문 및 시간
경연 작품
심사 항목
기악
명인부 10분 이내
일반부 7분 이내
자유곡 (예선)
산조 (본선)
공력(40%) 박자(30%)
성음(20%) 자세(10%)
무용
명인부 10분 이내
일반부 7분 이내
대학원, 대학부6분 이내
고등부 3분 이내
전통무용작품
중 자유 선택
(승무의 경우 북가락포함)
기능(50%) 내용(20%)
의상(10%) 음악(10%)
자세(10%)
민요
명인부 10분 이내
일반부 7분 이내
경서도 민요, 잡가
중 자유 선택
공력(30%) 장단(25%)
가사(20%) 성음(15%)
자세(10%)
판소리
명인부 15분 이내
일반부 10분 이내
판소리 5바탕
중 자유 선택
공력(30%) 박자(30%)
가사(15%) 발림(15%)
성음(10%)
타악
일반부, 단체부 5분이내
개인놀음 및 단체
공력(30%) 구성(30%)
조화(20%) 일치(20%)
단체
단체부 10분 이내
전통분야 중 자유선택
구성(30%) 조화(30%)
박자(20%) 일치(20%)
* 한국전통무용 - 승무, 살풀이춤, 태평무, 한량무, 산조춤,
소고춤, 장고춤, 진도북춤, 춘앵전, 무산향 또는 국가무형문화재 및 시도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중 작품 택1
■기타사항
ㅇ참가자신청은 1인 1부문에 한정
ㅇ본선 참가 시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 지참
ㅇ입상자 중 결격사유가 있을시 심사규정에 의거 입상을 취소할 수 있음
ㅇ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
※ 위 내용은 대회운영상 사정에 의하여 변동될 수 있음
■ 시상 내역
부 문
상 격
훈 격
인 원
상 금
비 고
명
인
부
종합
결선
진출자
종합대상
세종대왕상
1
20,000,000
부문별 1등을
종합결선을
통해 선정
대상
국무총리상
1
5,000,000
금상
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
1
3,000,000
은상
서울시장상
1
2,000,000
무용
기악
민요
판소리
최우수상
동대문구청장상
4
700,000
부문별 1명
우수상
기념사업회장상
4
500,000
장려상
전통예술위원장상
4
300,000
일
반
부
종합
결선
진출자
대상
국회의장상
1
5,000,000
부문별 1등을
종합결선을
통해 선정
금상
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
1
2,000,000
은상
서울시장상
1
1,000,000
동상
동대문구청장상
1
500,000
기악
무용
민요
판소리
준우수상
기념사업회장상
4
300,000
부문별 1명
장려상
전통예술위원장상
4
300,000
일반부단체
단체상
전통예술위원장상
4(팀)
500,000
종목상관 없이
4팀 선정
타악부
(단체)
금상
서울시장상
1
1,500,000
예선 단심
은상
국회의원상
1
1,000,000
동상
전통예술위원장상
3
300,000
대
학
원
생
부
무용
금상
교육부총리상
1
2,000,000
본선 고득점순
은상
동대문구청장상
1
500,000
동상
전통예술위원장상
3
300,000
대
학
부
무용
금상
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
1
2,000,000
본선 고득점순
은상
동대문구청장상
1
500,000
동상
전통예술위원장상
3
300,000
고
등
부
무용
금상
서울시장상
1
1,000,000
본선 고득점순
은상
구의회의장상
3
500,000
동상
전통예술위원장상
3
300,000
학생부
무용단체
단체상
전통예술위원장상
2(팀)
500,000
부문상관 없이
2팀 선정